본문 바로가기

디자인 지식10

[디자인 실무팁] 초보 그리고 신입 그래픽 디자이너가 많이 하는 실수 - 이미지 해상도 유튜브에서 영상으로 말한 적이 있지만 글로 읽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해 글로도 남겨봅니다. 이미지 해상도에 대해 신경을 안 쓰는 경우 흔히 있는 일로 많은 초보 그리고 신입 디자이너분들이 하는 실수 중 하나입니다. 그래픽 디자인 작업을 할 때 우리는 종종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ppi 또는 래스터 또는 해상도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거나 배웠지만 잊고 지낸 분들이 계시다면 작업 시 이미지 해상도에 대해 무딘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렇기에 200픽셀의 이미지를 크기를 맞추기 위해 500으로 키우는 일도 마다하지 않습니다. 픽셀의 수는 해상도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200픽셀의 이미지를 500픽셀로 키운다 해서 이미지의 선명함이 500픽셀처럼 변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줄인 이미지를 다시 .. 2021. 8. 13.
좋은 디자인이란 좋은 디자인은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했을 때 좋은 디자인이란 전달해야 되는 의도를 전달력 있게 만든 디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전달력은 디자인을 보는 체험하는 상대방이 디자이너가 의도하고자 하는 내용을 쉽게 이해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웹 그래픽 디자인은 주로 정보를 전달해야 되는 내용을 주제로 작업을합니다. (ex 상세페이지 / 웹 배너 등등) 그렇기에 제작된 디자인에 가독성이 떨어진다면 전달력이 반감이 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아래에 전달력이 반감된 디자인의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잘못된 색상을 선택했을 시 전달력이 반감됩니다. 심벌 로고를 목업에 얹어 돋보이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한 디자인입니다. 하지만 로고와 배경색의 대비가 없는 비슷한 색상을 사용했기에 디자인이 묻혀버리는 상황.. 2021. 8. 11.
벡터와 비트맵 (래스터) 그리고 픽셀에 대한 정리와 활용법 벡터 Vector, 비트맵 Bitmap (비트맵은 래스터 Raster라고도 불립니다) 비트맵(래스터) 이미지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핸드폰 카메라 폴더 속 사진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트맵은 무수히 많은 사각형 픽셀들이 모여 이미지의 형태를 보여줍니다. 이미지 안에 이 픽셀들이 많으면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이며 선명하고 큽니다. 반대로 픽셀의 수가 적으면 해상도가 낮은 이미지이며 흐릿하고 작습니다. 비트맵 파일은 확대하고 축소할 때(크기를 임의로 변경하는 것과 달리 말그대로 확대 축소) 파일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값이 일정합니다. 작은 파일을 크게 확대한다고 그 파일이 커지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반면 벡터 파일은 모양,선 등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벡터파일을 이루고 있는 모든것들은 수학공식에 의해 .. 2021. 8. 9.
ppi 와 dpi 가 무엇인가요? 그에 대한 답안을 알려드립니다 ppi 와 dpi의 뜻과 차이 그리고 활용하는 방법 ppi는 pixels per inch의 약자이며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입니다. 둘 다 작업물의 선명도와 정밀도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ppi는 디지털 작업물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말이며 dpi는 인쇄기가 표현할 수 있는 도트의 수 또는 인쇄된 작업물의 도트 수를 나타냅니다. 즉 ppi는 RGB (빛의 삼원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dpi는 CMYK (색의 삼원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pi (pixels per inch) ppi는 인치당 픽셀의 밀도를 뜻하며 1픽셀당 고유의 색상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ppi(해상도)가 높으면 화질이 깨끗하고 선명하다는 느낌이 나며 낮으면 이미지가 흐려집니다. ppi 높을수록 가지고 있는 색상의.. 2021. 8. 8.